반응형

지식 23

조선시대에 나타난 미스테리 현상들 | 유성? UFO? 외계인과의 조우?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미스터리한 현상들. 세종 2년 경자(1420) 1월 4일(계묘) 괴이한 기상을 예측하지 못한 일관 위사옥을 옥에 가두다. 세종 5년 계묘(1423) 1월 12일(갑오) 요망스런 말을 한 선군 이용을 형률대로 다스리게 했다가 놓아 보내다. 세종 18년 병진(1436) 윤 6월 13일(정축) 근정전 옥상에 이상한 기운이 돌다. 세조 13년 정해(1467) 7월 20일(계미) 광선의 끝이 아래로 드리워진 큰 별이 동방에서 나오다. 연산군 1년 을묘(1495) 2월 21일(을해) 충청도 영춘현에 유성 같은 것이 떨어져 조사하게 하다. 연산군 10년 갑자(1504) 10월 6일(계해) 밤 4경에 신기전 소리 같은 것의 진상을 밝히게 하다. 중종 15년 경진(1520) 2월 19일(무인) 전라..

지식 2021.03.03

블로그 포스팅, 많은 방문자 수 유입을 위한 키워드 찾고 선별하기

블로그 포스팅 수익이 잘 나는 블로그는 특정 주제로 꾸준히 글을 썼기 때문이라는 생각은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적절하지만 티스토리에서는 다른 이야기입니다. 물론 어떤 주제이냐인가에 따라서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주제보다 중요한 문제가 수익형 티스토리에서는 따로 있습니다. 티스토리에 달리는 광고는 다양한 광고가 있지만 그 중 하나가 '광고 타게팅 유형' 보통 맞춤 광고와 문맥 광고가 8:2의 수익을 발생합니다. 그 말은 어떤 주제와 카테고리의 글을 쓰는지와 무관하게 수익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방문해서 자기에게 맞는 맞춤 광고를 클릭하느냐. 많은 방문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사람들이 많이 찾는 글을 키워드에 선별하여 넣어야 합니다. 블로그에 많은 글이 포스팅되어 있지만 ..

지식 2021.03.03

오로라는 무엇일까?

밤하늘에 초록빛 물결이 흐릅니다. 커튼처럼 하늘을 수놓은 이것은, 바로 오로라입니다. 태양의 폭발로 생기는 태양풍. 자기장의 영향으로 극지방의 대기권 상층부와 충돌하면서 빛을 내는, 방전 현상. 이것을 우리는 '오로라' 라고 부릅니다. 오로라는 새벽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용어입니다. 지구의 북반구와 남반구 고위도 지방에서 주로 나타나며, 각각을 북극광, 그리고 남극광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자극에 가까운 극지역을 통해 지구로 유입되기 때문에, 고위도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주로 고도 100km에서 320km미터 사이에서 발생하며, 자기장이 가장 강한 곳을 중심으로 약 20도 떨어진 위도대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지구뿐만아니라 다른 행성에서도 존재합니다. 오로라는 태양 빛에 비해 매우 약하기 때문..

지식 2021.03.03
반응형